작성일 : 22-04-09 22:30
부활절의 유래
인쇄
 글쓴이 : 정윤태
조회 : 246  

부활절의 원래 명칭은 히브리어의 `유월절’의 의미인 파스카(Pascha) 였다. 주님의 고난과 부활이 유대인의 절기인 유월절과 같은 시기에 있었기 때문에 붙여진 자연스러운 명칭이었다. 이는 유대인이었던 사도들과 개종자 들이 그들의 옛 절기인 유월절에 대한 새로운 기독교적인 의미를 부여해 보고자 하는 노력으로 부활절을 지켰기 때문이다. 사도 바울이 고린도전서 16 6.9절에서 그리스도를 가리켜 유월절양이라고 한 것은 이러한 사실을 잘 말해주는 말씀이다. 그런데 북부 유럽에서는 봄에 이스트르(Eastre) 축제를 계속하고 있었다. 그리스도인들은 바로 이 시기에 파스카(Pascha)를 경축하였다. 그 후 기독교인들은 이 파스카 축제를 이스터(Easter)라고 부르게 되었다. 어떤 의미로 `파스카’를 `이스터’라고 불렀는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 , 빛의 영광됨이 의미상 일치되고 있기 때문일 것이라는 짐작만 있을 뿐이다.

파스카는 거룩한 주간으로 지켜졌다. 부활주일 전 주일은 종려주일로 정하고 주님의 승리의 입성을 기념하여 저녁 때 성도들이 감람산에 올라가 예배를 드리고 종려나무 가지를 들고 행진하여 예루살렘으로 돌아오며 `호산나’를 불렀다. 목요일에는 `성만찬’과 금요일에는 `성 금요일’을 생각하여 주님의 고난과 관련된 금식을 하였다. 그러므로 부활절 축제는 부활하신 그 날만의 축제가 아니라 사순절의 마지막 주간의 고난 주간과 연결되어 맞이하는 것이기 때문에 고난과 부활의 연결을 자연스럽게 하여야 부활의 기쁨이 보다 크게 체험하는 것이다. 


 
 

일반형 뉴스형 사진형 Total 876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860 301반 HMMS란? 김광수 02-02 223
859 목양편지(3)/그리스도의 강한 군사가 되기 위… 김광수 01-21 172
858 목양편지(2) 2023 새해를 맞이하며 김광수 12-31 1008
857 2023 목양 & 섬김사역 지원서 김광수 12-10 1300
856 목장모임 순서 김광수 12-10 1287
855 QT 경건의 시간 갖는 법 김광수 12-10 1205
854 목양편지(1) 목양자가 되십시오 김광수 12-09 1061
853 가족의 힘 정윤태 05-06 310
852 부활 증인과 증거 정윤태 04-24 180
851 고난 속에 잉태되는 부활의 생명 정윤태 04-16 183
850 부활절의 유래 정윤태 04-09 247
849 시련과 열매 정윤태 03-26 273
848 믿음의 복원력 정윤태 03-19 263
847 믿음의 눈 정윤태 03-12 331
846 진정한 예배를 드릴 수 있는 사람들 웹섬김… 02-27 383
845 성도의 덕 웹섬김… 02-19 210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