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 22-04-09 22:30
부활절의 유래
인쇄
 글쓴이 : 정윤태
조회 : 245  

부활절의 원래 명칭은 히브리어의 `유월절’의 의미인 파스카(Pascha) 였다. 주님의 고난과 부활이 유대인의 절기인 유월절과 같은 시기에 있었기 때문에 붙여진 자연스러운 명칭이었다. 이는 유대인이었던 사도들과 개종자 들이 그들의 옛 절기인 유월절에 대한 새로운 기독교적인 의미를 부여해 보고자 하는 노력으로 부활절을 지켰기 때문이다. 사도 바울이 고린도전서 16 6.9절에서 그리스도를 가리켜 유월절양이라고 한 것은 이러한 사실을 잘 말해주는 말씀이다. 그런데 북부 유럽에서는 봄에 이스트르(Eastre) 축제를 계속하고 있었다. 그리스도인들은 바로 이 시기에 파스카(Pascha)를 경축하였다. 그 후 기독교인들은 이 파스카 축제를 이스터(Easter)라고 부르게 되었다. 어떤 의미로 `파스카’를 `이스터’라고 불렀는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 , 빛의 영광됨이 의미상 일치되고 있기 때문일 것이라는 짐작만 있을 뿐이다.

파스카는 거룩한 주간으로 지켜졌다. 부활주일 전 주일은 종려주일로 정하고 주님의 승리의 입성을 기념하여 저녁 때 성도들이 감람산에 올라가 예배를 드리고 종려나무 가지를 들고 행진하여 예루살렘으로 돌아오며 `호산나’를 불렀다. 목요일에는 `성만찬’과 금요일에는 `성 금요일’을 생각하여 주님의 고난과 관련된 금식을 하였다. 그러므로 부활절 축제는 부활하신 그 날만의 축제가 아니라 사순절의 마지막 주간의 고난 주간과 연결되어 맞이하는 것이기 때문에 고난과 부활의 연결을 자연스럽게 하여야 부활의 기쁨이 보다 크게 체험하는 것이다. 


 
 

일반형 뉴스형 사진형 Total 876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876 2024 후반기 교인주소록입니다. 김광수 06-20 39
875 목양편지(11) 총회참석을 앞두고 김광수 06-07 50
874 TEE를 통한 제자양육 사역을 시작합니다 김광수 04-30 130
873 지역섬김을 위한 한의원 의료봉사 사역 (5/5일… 김광수 04-09 86
872 봄맞이 나들이 소풍 김광수 03-24 109
871 2024 서리집사 임직을 축하합니다 김광수 02-04 451
870 2024 신년대심방 김광수 01-09 144
869 "치유와 회복"을 위한 심령부흥성회 김광수 11-15 160
868 한가위초청잔치 및 추석민속놀이행사 김광수 09-22 176
867 목양편지(10) 131 중보기도사역을 시작합니다 김광수 09-06 149
866 ​목양편지(9) 청년의 때를 아름답게 김광수 09-03 114
865 목양편지(8) 더욱 온전함을 향해 자라 가자 김광수 08-19 103
864 목양편지(7) 교회봉사와 운영에 대하여 김광수 06-28 111
863 목양편지(6) 교회의 의사 결정에 대하여 김광수 06-03 148
862 목양편지(5) 경건은 범사에 유익합니다. 김광수 03-17 146
861 목양편지(4) 하나님과 동행의 삶을 위해 김광수 02-04 168
 1  2  3  4  5  6  7  8  9  10